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Ⅱ.토지 및 기후 - 4. 기상개황(2022)

반응형

토지및기후의 네번째 통계표는 기상개황입니다. 일기일수와 동일하게, 유인관측지점, 종관기상관측지점, 방재기상관측지점에 따라 통계표 구성이 다릅니다. 행정구역과 별개로 관측지점에 따라 작성됩니다. 관한 내에 다수의 관측지점이 있다면, 다수의 통계표가 생산될 수 있습니다. 관측지점이 없는 경우에는 인접 지역의 기상자료를 활용하여 생산하기도 합니다. 작성시 우선순위는 기상요소가 가장 많은 유인관측지점이고, 종관기상관측지점, 방재기상관측지점 순으로 작성하면 됩니다. 

 

첫번째, 유인관측지점입니다. 작성대상은 15개 시도, 32개 시군구가 있습니다. 표측은 월별 분류이며, 표두는 기상요소별 분류입니다. 기상요소에는 기온부터 바람까지 총 16개가 있습니다. 각 기상요소 기온(℃), 강수량(㎜), 상대습도(%), 이슬점 온도(℃), 최심신적설(㎝), 바람(㎧)은 각기 다른 단위를 가지고 있습니다. 평균 운량과 일조시간의 단위는 없습니다.

<제62회 서울통계연보>

두번째, 종관기상관측지점입니다. 작성대상은 1개 시도, 66개 시군구가 있습니다. 표측은 월별 분류이며, 표두는 기상요소별 분류입니다. 기상요소에는 유인관측지점의 기상요소 중 최심신적설을 제외하고 동일합니다.

<제42회 동해통계연보>

세번재, 방재기상관측지점입니다. 작성대상은 1개 시도, 130개 시군구가 있습니다. 표측은 월별 분류이며, 표두는 기상요소별 분류입니다. 기상요소에는 기온, 강수량, 바람으로 8개가 있습니다. 각 기상요소 기온(℃), 강수량(㎜), 바람(㎧)은 각기 다른 단위를 가지고 있습니다.

<제45회 영도구통계연보>

유인관측지점을 기준으로 16개 기상요소별 정의를 확인해보겠습니다. 우선, 기상요서의 계산방법을 확인해 봐야 합니다. 일 평균값은 1일 8회(03, 06, 09, 12, 15, 18, 21, 24시) 관측값의 평균입니다. 월 평균값은 일 평균값의 합계를 일수로 나눈 값이며, 연 평균값은 매월의 월평균값 합계를 평균해 산출한 값입니다. 일 통계자료의 80% 이상이 존재해야 월 자료를 산출할 수 있습니다. 월값은 하나라도 누락된 경우 연값 산출이 불가능합니다.

 

기상요소 중 첫번째로 기온입니다. 기온 관측은 종관기상의 기본요소 중 하나입니다. 기온의 변화는 인간생활에 깊게 연관되어 있어, 동식물의 생육 및 각종 산업의 환경 지표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기온 관측은 국제적으로는 지면으로부터 1.25~2.0m의 높이에서 측정하는 것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1.5m 높이를 기준으로 하고 있습니다. 기상개황의 온도를 나타내는 항목은 5개가 있습니다.

평균 기온: 일 평균 기온의 평균이 월 평균 기온이며, 월 평균 기온의 평균이 연 평균 기온입니다. 따라서, 연별 자료는 월별 자료의 평균입니다.

평균최고 기온: 일 최고 기온의 평균이 월 평균최고 기온이며, 월 평균최고 기온의 평균이 연 평균최고 기온입니다. 따라서, 연별 자료는 월별 자료의 평균입니다.

최고극값 기온: 월 최고 기온이 월 최고극값 기온이며, 연 최고 기온이 연 최고극값 기온입니다. 따라서, 연별 자료는 월별 자료 중 최고값입니다.

평균최저 기온: 일 최저 기온의 평균이 월 평균최저 기온이며, 월 평균최저 기온의 평균이 연 평균최저 기옵입니다. 따라서, 연별 자료는 월별 자료의 평균입니다.

최저극값 기온: 월 최저 기온이 월 최저극값 기온이며, 연 최저 기온이 연 최저극값 기온입니다. 따라서, 연별 자료는 월별 자료 중 최저값입니다.

 

두번째는 강수량입니다. 강수현상은 해양이나 육지로부터 증발한 수분이 구름을 형성하고, 형성된 구름의 발달에 따라 비나 눈이 내리는 현상을 말합니다. 지면에 떨어진 강수는 침투 및 유출과정을 거쳐 해양으로 되돌아가는 순환으로 지구전체로는 증발량과 강수량이 균형을 유지하게 됩니다. 집중호우와 폭설 등의 기상현상은 국민의 생명과 재산에 막대한 피해를 유발함에 따라 정확한 관측이 요구됩니다. 특히, 강수현상은 다른 기상요소에 비해 국지성과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조밀한 관측이 필요하며, 관측된 강수 자료는 토목, 건축, 댐 관리, 농업분야 등에 서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습니다.

 

강수란 구름이나 공기 중으로부터 지면에 떨어지느 액체 도는 고체의 수증기 응결체를 말합니다. 비, 이슬비 등 액체성 강수는 물론 눈, 싸락눈, 우박 등 고체성 강수도 융해시킨 물의 깊이로 측정하여 강수량에 포함시킵니다.

강수량: 일 강수량의 합계가 월 강수량입니다. 월 강수량의 합계가 연 강수량입니다. 따라서, 연별 자료는 월별 자료의 합계입니다.

 

세번째는 상대습도입니다. 대기 중의 수중기는 구름을 만들어 강수현상의 원인이 되는 것 외에 증발응결하므로 잠열 형태로 열 수송에 관여하며, 또 적외선의 흡수 또는 복사작용을 하여 대기의 복사향 변동을 지배하고 있습니다. 또한 농업에서의 습도는 식물의 수분 대사,  증발산량, 이슬, 벼의 도열병, 감자의 역병발생 예찰 등 기온과 함께 중요한 관측요소입니다. 

 

기상개황에서 상대습도는 과측 시 대기 중에 실제로 포함되어 있는 수증기량(수증기압)과 그 때의 기온으로 표함시킬 수 있는 최대 수증기량(포화수증기압)의 비율로, 백분율(%)로 표현합니다. 기상개황에서는 상대습도를 나타내는 항목이 2개 있습니다.

평균 상대습도: 일 평균 상대습도의 평균이 월 평균 상대습도이며, 월 평균 상대 습도의 평균이 연 평균 상대습도입니다. 따라서, 연별 자료는 월별 자료의 평균입니다.

최소 상대습도: 일 상대습도의 월간 최소값이 월 최소 상대습도입니다. 월 최소 상대습도의 연간 최소값이 연 최소 상대습도입니다. 따라서, 연별 자료는 월별 자료의 최소값입니다.

 

네번째는 해면기압입니다. 기압은 옛날부터 일기의 중요한 지표가 되어 왔습니다. 기압은 바람과 일기현상 등과 관계가 깊습니다. 또한 기압은 대표성 범위도 넓어서 수치예보나 종관예보에서 가장 기본적인 요소로 이용되는 매우 중요한 관측자료입니다. 기압은 대기의 압력으로 기체 또는 액체상태의 성분을 포함한 공기입자들이 표면위에 수직으로 부딪히면서 단위면적당 가해지는 힘입니다. 

 

해면기압은 실제고도가 아닌 평균해면에서 기압으로 환산한 것으로 관측소기압으로부터 경험적으로 추정합니다. 즉, 관측소와 평균해면 사이의 가상적인 층에서 고도에 따른 온도감률을 가정하여 관측소기압을 평균해면에서의 기압으로 변환시킵니다. 

평균 해면기압: 일 평균 해면기압의 평균이 월 평균 해면기압이며, 월 평균 해면기압의 평균이 연 평균 해면기압입니다. 따라서, 연별 자료는 월별 자료의 평균입니다.

 

다섯번째는 이슬점 온도입니다. 이슬점 온도는 포화수증기압에 관측 시 수증기압과 같아지는 온도를 말합니다.

이슬점 온도: 일 평균 이슬점 온도의 평균이 월 평균 이슬점 온도이며, 월 평균 이슬점 온도의 평균이 연 평균 이슬점 온도입니다. 따라서, 연별 자료는 월별 자료의 평균입니다.

 

여섯번째는 운량입니다. 구름은 강수, 뇌전, 안개 등 일기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특징적인 구름의 분포는 일기현상을 대표하여 기상관측의 중요한 자료로 활용됩니다. 구름이란 대기 중에 떠다니는 미세한 수적이나 빙정 입자가 여러 응결핵과 집결하여 육안으로 볼 수 있는 것을 말합니다. 구름이 지면과 접하여 있을 때에는 안개라고 합니다.

 

운량은 전천을 10으로 하고 구릅이 덮여 있는 부분을 전천에 대한 10분수로 표시한 것을 말합니다. 특정 운형의 구름이 단독으로 하늘을 덮은 부분을 그 구름의 부분 운량이라 합니다. 전운량은 부분 운량의 합계가 아니며, 모든 구름이 덮고 있는 부분의 천공에 대한 10분수입니다. 운량은 0과 10사이의 정수로 나타냅니다.

평균 운량: 일 평균 운량의 평균이 월 평균 운랑이며, 월 평균 운량의 평균이 연 평균 운량입니다. 따라서, 연별 자료는 월별 자료의 평균입니다.

 

일곱번째는 일조시간입니다. 일조시간은 기후변동을 감시하고, 동물의 활동과 식물 생육에도 많은 영향을 주는 중요한 관측요소입니다.  농업에서 일조시간이 길면 작물의 발육이 양호하나 일조시간이 짧으면 작물이 연약하게 자라서 해충이나 병해가 크게 발생하는 일이 많으며, 식물의 개화나 결실기가 일조시간에 지배되므로 일조시간 관측은 농업분야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태양 광선이 구름이나 안개로 가려지지 않고 땅 위를 비치는 것을 일조라고 하며, 실제로 비친 시간을 일조시간이라고 합니다.

일조시간: 일 일조시간의 합계가 월 일조시간입니다. 월 일조시간의 합계가 연 일조시간입니다. 따라서, 연별 자료는 월별 자료의 합계입니다.

 

여덟번째는 적설입니다. 적설이란 고체상의 강수(눈, 싸락눈 등)가 지면에 내려 쌓여 있는 수직 깊이를 말합니다. 눈이 관측장소 또는 관측장소 주위의 지면에 반 이상을 덮었을 때를 적설이 있는 것으로 합니다. 강설량이란 눈으로 내린 강수량을 말하는 것으로 적설과는 다릅니다. 아무리 많은 눈이 내리더라도 지면에 쌓이기 전에 녹아 지면의 반 이상을 덮지 못하면 적설은 없는 것으로 합니다.

 

적설은 관측 편의 따라 적설과 신적설로 구분합니다. 적설은 쌓인 기간에 관계없이 관측 시에 실제 지면에 쌓여 있는 눈의 깊이를 말하고, 신적설은 특정 기간 동안에 새로 쌓인 눈의 깊이를 말합니다. 

최심신적설: 일 최심신적설은 0시부터 24시 사이에 새로 내려 쌓인 눈의 최대 깊이를 말하며, 월 최심신적설은 일 최심신적설의 최대값입니다. 연 최심신적설은 월 최심신적설의 최대값입니다. 따라서, 연별 자료는 월별자료의 최대값입니다.

 

마지막 풍속입니다. 바람은 밀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르는 공기의 움직임입니다. 밀도 차가 클수록 바람의 세기도 강해집니다. 단위는 ㎧를 사용합니다. 바람은 기압분포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습니다. 대규모적인 대기운동의 지표로 중요한 기상요소입니다. 바람관측은 일기예보는 물론, 선박, 항공기 운항이나 재해방지에이용하며, 그 관측자료는 건축물 설계, 토지이용 계획 등 각종 산업분야에 이용됩니다. 또한, 식물군락의 분포고도에 따라서 난류수송, 병행충의 발생과 관련된 군락의 미기후, 오염물질의 확산, 온시기체의 방출, 증발산, 물질 및 에너지 수송 등 농림업분야에 많이 이용됩니다.

 

바람은 풍향과 풍속을 관측합니다. 풍향은 진북을 기준으로 360°의 10°간격으로 관측합니다. 풍속은 대기의 수평적인 흐름의 속도를 말합니다. 풍속은 지면으로부터 지면으로부터 높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지상 10m 높이의 풍속을 표준으로 합니다.

평균풍속 바람: 일 평균풍속은 1,440개의 매분 풍속의 평균을 산출합니다. 월 평균풍속은 일 평균풍속의 평균입니다. 연 평균풍속은 월 평균풍속의 평균입니다. 따라서, 연별 자료는 월별 자료의 평균입니다.

최대풍속 바람: 일 최대풍속은 1분마다 산출된 10분 평균 풍속자료 1,440개 중에서 최대 풍속값입니다. 월 최대풍속은 일 최대풍속의 최대값입니다. 연 최대풍속은 월 최대풍속의 최대값입니다. 따라서, 연별 자료는 월별 자료의 최대값입니다.

최대순간풍속 바람: 일 최대순간풍속은 1,440개의 1분 풍속의 최대값입니다. 월 최대순간풍속은 일 최대순간풍속의 최대값입니다. 연 최대순간풍속은 월 최대순간풍속의 최대값입니다. 따라서, 연별 자료는 월별 자료의 최대값입니다.

 

이를 기준으로 자료의 정확성 측면을 보면, 표측 월별 자료의 합계는 기상요소별로 전체와 비교하여야 합니다.

합계(Sum) : 강수량, 일조시간

평균(Average) : 평균 기온, 평균최고 기온, 평균최저 기온, 평균 상대습도, 이슬점 온도, 평균풍속

최대값(Max) : 최고극값 기온, 최심신적설, 최대풍속, 최대순간풍속

최소값(Min) : 최저극값 기온, 최소 상대습도

 

기상개황의 기초자료는 기상청의 기상자료개방포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상청의 기상연보에서는 유인관측지점의 자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상연보는 익년 6월 이내에 공표됩니다. 공표수준은 관측지점별입니다. 현재 2021년 기준 자료가 기상간행물에서 PDF,  E-BOOK, EXCEL 형태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2021년 관측지점 서울의 자료를 확인해보니, 서울 통계연보와 동일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상연봉의 유인관측지점은 2021년 기준 94개입니다. 관측지점번호와 관측지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지점번호 지점명
090 속초
093 북춘천
095 철원
098 동두천
099 파주
100 대관령
101 춘천
102 백령도
104 북강릉
105 강릉
106 동해
108 서울
112 인천
114 원주
115 울릉도
119 수원
121 영월
127 충주
129 서산
130 울진
131 청주
133 대전
135 추풍령
136 안동
137 상주
138 포항
140 군산
143 대구
146 전주
152 울산
155 창원
156 광주
159 부산
162 통영
165 목포
168 여수
169 흑산도
170 완도
172 고창
174 순천
177 홍성
184 제주
185 고산
188 성산
189 서귀포
192 진주
201 강화
202 양평
203 이천
211 인제
212 홍천
216 태백
217 정선군
221 제천
226 보은
232 천안
235 보령
236 부여
238 금산
239 세종
243 부안
244 임실
245 정읍
247 남원
248 장수
251 고창군
252 영광군
253 김해시
254 순창군
255 북창원
257 양산시
258 보성군
259 강진군
260 장흥
261 해남
262 고흥
263 의령군
264 함양군
266 광양시
268 진도군
271 봉화
272 영주
273 문경
276 청송군
277 영덕
278 의성
279 구미
281 영천
283 경주시
284 거창
285 합천
288 밀양
289 산청
294 거제
295 남해

 

반응형